본문 바로가기
심리학/교육심리학

에릭슨 사회성 발달이론(2) 4~8단계

by 리뉴32 2024. 3. 29.
반응형

에릭 에릭슨의 사회성 발달 이론의 8단계 중 4단계는 중도기(Industry vs. Inferiority)는 대략 6세에서 12세 사이의 시기를 다루며, 아이들이 사회적 및 학업적 기술을 개발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아이들이 주변 사회에서 요구되는 역할을 습득하고 자아를 형성하는 데 주력합니다. 예를 들어, 8세의 제임스는 중도기 단계에 있습니다. 그는 학교에서 친구들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학업적인 목표를 달성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제임스는 수학에 대해 특히 흥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기 능력을 발휘하고자 합니다. 그는 수업에서 열심히 공부하고 과제를 완수하며 선생님들로부터 칭찬을 받는 것을 즐깁니다. 이를 통해 그는 자신의 학업적 능력을 인정받고 성취감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제임스는 친구들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도 발전하고 있습니다. 그는 팀 스포츠나 학교 클럽에 참가하여 동료들과의 협력과 친목을 키우고 있습니다. 그는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방법을 배우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는 법을 익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기술은 그가 사회적으로 성숙해지고 자아를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때로는 제임스가 학업적 또는 사회적으로 실패하거나 다른 아이들과 비교할 때 자신을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학 시험에서 좋은 성적을 받지 못하거나 친구들과의 갈등이 생길 경우에는 자신을 열등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성취에 대한 불안이나 자아 의심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도기 단계에서는 아이들이 학업적, 사회적 도전에 대처하면서 자아를 발전시키고 자아 존중감을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경험들은 그 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자아 정체성과 자기효능감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에릭슨의 사회성 발달 이론에서 중학생 시기에 해당하는 다음 단계는 "정체성 vs. 역할 혼란 (Identity vs. Role Confusion)"입니다. 이 단계는 대략 12세에서 18세 사이의 청소년 시기를 다룹니다. 이 단계에서는 청소년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며, 그들의 가치, 신념, 관심사, 직업 등에 대한 이해를 확립하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15세의 사라는 정체성 vs. 역할 혼란 단계에 있습니다. 그녀는 이전에는 자신의 관심사나 가치관에 대해 크게 고민하지 않았지만, 이제는 자신이 누구이고 무엇을 원하는지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있습니다. 사라는 학교에서 다양한 클럽과 활동에 참여하여 자신의 관심사를 탐구하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그녀는 학교 신문의 편집 부서에 참여하여 글쓰기와 통신 기술을 향상하고, 동시에 언론의 역할과 영향력에 대해 배우고 있습니다. 또한 그녀는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여 사회에 기여하는 방법을 탐구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가치관과 믿음을 발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라는 자신의 관심사와 역량을 발견하고 자아 정체성을 형성하려는 노력을 경험합니다. 그녀는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되길 원하는지에 대해 자신만의 비전을 갖추고,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행동합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는 아직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나 다양한 역할에 대한 혼란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또한 사라는 동료들과의 비교나 사회적 압력에 의해 혼란스러움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동안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거나 외부의 기대에 부합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그녀는 자신의 실제 욕구나 가치관을 무시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들은 사라가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녀는 자신의 이해관계와 역량을 바탕으로 자신의 목표를 설정하고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게 될 것입니다. 이 단계에서의 경험들은 그녀의 성인으로서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에릭슨의 사회성 발달 이론에서 중학생 시기 이후의 다음 단계는 "젊음의 성숙기(Intimacy vs. Isolation)"입니다. 이 단계는 대략 18세에서 40세까지의 청년 시기를 다룹니다. 이 단계에서는 개인이 다른 사람들과의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려는 욕구와 그로부터 오는 도전 사항을 경험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25세의 존은 젊음의 성숙기에 있습니다. 그는 직장에서 성공을 거둬 경제적으로 안정되었고, 이제는 사회적으로 만족스러운 관계를 형성하고자 합니다. 존은 이전에는 자기 친구들과의 관계에만 주의를 기울였지만, 이제는 진지한 연인 관계나 가족과의 관계를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존은 연애를 통해 다른 사람과의 밀접한 관계를 탐구하고자 합니다. 그는 자신의 가치관과 이해관계에 부합하는 파트너를 찾기 위해 노력하며, 서로에 대한 이해와 신뢰를 바탕으로 관계를 발전시키고자 합니다. 또한 존은 가족과의 관계를 강화하고자 노력하여, 부모나 형제들과의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존은 가족이나 친구, 연인과의 갈등이나 소외감을 경험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존의 연인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문제가 발생하거나 가족 간에 갈등이 생길 경우에는 존이 고립된 느낌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존은 자신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할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존은 젊음의 성숙기 단계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발전시키고, 다른 사람들과의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경험을 하게 됩니다. 이는 그의 개인적인 만족감과 사회적 안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또한 이러한 관계들은 그가 성인으로서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에릭슨의 사회성 발달 이론에서 "생산성 vs. 스털링(Generativity vs. Stagnation)"은 중년기에 해당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는 대략 40세에서 65세 사이의 시기를 다룹니다. 이 단계에서는 개인이 자기 가족, 직장, 사회 커뮤니티 등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수행하고, 다음 세대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가지며 사회적 기여를 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예를 들어, 50세의 엠마는 생산성 vs. 스털링 단계에 있습니다. 그녀는 가정에서 자녀들을 키우고 직장에서 경력을 쌓아왔으며, 이제는 자기 경험과 지식을 활용하여 사회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엠마는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거나 사회단체에서 봉사자로 활동하며, 지역사회의 발전과 개선을 위해 노력합니다. 또한 엠마는 가족과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녀는 자녀들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지원함으로써 가족의 안녕과 행복을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 또한 자기 부모와의 관계를 존중하고 지원하며, 그들에게 감사함을 표현하고 보답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이 없을 경우, 엠마는 스털링 상태에 빠질 수 있습니다. 자기 삶이 더 이상 의미 있게 느껴지지 않고, 사회적으로 고립되거나 무관심한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자아개념의 혼란이나 우울증과 같은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엠마가 생산성 vs. 스털링 단계에서 생산적이고 의미 있는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할 때, 그녀는 자신의 가치를 인정하고 사회적으로 만족스러운 삶을 살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녀는 자신의 역할과 가치를 새롭게 발견하고, 사회적으로 더욱 활발하게 참여하게 될 것입니다. 그 결과로 그녀는 보다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에릭슨의 사회성 발달 이론에서의 다음 단계는 "고르기면(Despair)"입니다. 이 단계는 대략 65세 이상의 노년기를 다루며, 삶을 되돌아보고 자신의 선택과 행동에 대한 후회와 우울을 경험하는 시기를 의미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삶을 받아들이고 노화를 수용하며 존중하는 과정을 겪게 됩니다. 예를 들어, 75세의 케이트는 고르기면 단계에 있습니다. 그녀는 삶의 대부분을 돌아보고, 자신의 선택과 결정에 대해 후회와 우울을 느끼고 있습니다. 케이트는 삶의 여러 부분에서 실패하거나 미완성된 일들이 많다고 생각하며, 지난날들을 회상할 때 후회의 감정이 들곤 합니다. 그러나 고르기면 단계에서 중요한 점은 자아 수용과 평가입니다. 케이트는 자신의 삶을 받아들이고, 과거의 선택과 행동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며, 그로부터 배운 교훈을 수용하고자 합니다. 그녀는 자기 경험을 통해 성장하고 배우며, 자신에게 얻은 지식과 지혜를 인정하고 소중히 여기려고 노력합니다. 이 단계에서 중요한 것은 자아 수용과 자기 존중감의 강화입니다. 케이트는 자신의 삶을 평가하고, 지난 시간을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자 하는 과정으로 받아들이려고 합니다. 그녀는 자신의 노화와 삶의 끝을 인식하면서도, 여전히 소중한 삶을 살고 있음을 인정하고자 합니다. 고르기면 단계에서는 후회와 우울함이 자주 나타날 수 있지만, 이를 통해 개인은 자신의 삶을 다시 평가하고 새로운 의미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케이트는 자신의 삶을 사랑하고 감사하며, 마지막 순간까지 자신의 가치와 존엄성을 지키며 살고자 합니다. 이러한 자세는 그녀에게 내적 평화와 만족감을 가져다줄 것입니다.




 

 

반응형